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이야기11

단어 단어 학교 문법이나 일부 문법서에서는 단어를 '최소자립형식'이라고 정의하지만, 이러한 정의만으로는 단어를 완전하게 설명할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단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단어(單語)는 낱말이라고도 하며, 단일한 의미를 지니는 소리의 결합체라고 정의된다. 하지만 문법적으로 단어를 딱 한가지의 개념으로만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 단순히 의미를 지니는 단위라고 하기에는 형태소와 겹치는 부분도 있고, 단일한 의미를 지녔음에도 단어락 보기 어려운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단어를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어려우며, 현재에도 여전히 다양한 개념으로 설명되고 있다. 결국 단어란 것은 문법적인 몇 가지 기준을 통해서 이해하는 것이 최선이다. 단어의 조건에는 비분리성(非分離性)도 있다. 비분리성이란.. 2023. 8. 25.
한국어의 문법적 특징 형태적 특징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으로는 '교착어', '조사와 어미의 발달', '감각 표현과 상징부사의 발달', '문법적 요소의 위치와 순서', '문법적 요소의 교체'등이 있다. 한국어는 기본적으로 교착어(膠着語)이다. 교착어란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 혹은 어간에 문법적인 요소가 결합하여 일정한 기능을 갖게 되는 언어를 말한다. 한국어는 교착어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보니, 문법적인 관계를 표시하는 조사(助詞)와 어미(語尾)가 발달되어 있다. 한국어의 조사에는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가 있고, 어미에는 '어말어미', '선어말어미'가 있다. 우선 조사를 살펴보면, 격조사는 어근에 결합하여 격(格)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이고, 보조사는 특별한 의미를 더해주는 조사이며, 접속조사는 체언과 체언을 이.. 2023. 8. 24.
한국어와 문법 한국어의 이해 한국어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한국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고 한국어의 영역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지를 살펴보자. 국어와 한국어 국어(國語)란 글자 그대로 한 나라의 언어를 의미한다. 모든 나라가 고유의 언어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나라에는 그 나라만의 언어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나라마다의 고유 언어를 그 나라의 국어라고 한다. 따라서 이때의 국어를 영어로 번역하면 'national language'가 된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국어를 'national language'의 뜻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한국에서 국어는 'korean language', 즉 한국어(韓國語)를 의미한다. 따라서 한국에서 국어 교육 국어 문법이라고 하는 것들은 모두 한국어에만 한정되는 개.. 2023. 8. 23.